자동차 세금표 (승용차 화물차 승합차 SUV 배기량 자동차세 계산 방법)

자동차를 소유하거나 구매할 때는 다양한 세금이 부과됩니다. 세금은 차량의 종류, 배기량, 용도, 연식 등에 따라 달라집니다. 아래는 자동차 세금표와 관련 세금의 종류, 계산 방법에 대한 상세한 안내입니다.

자동차 세금표란?

자동차-세금표-배너2

차량을 보유하고 있을 때는 매년 자동차세와 지방교육세가 부과됩니다. 자동차세는 차량의 종류, 배기량, 용도, 연식 등에 따라 달라집니다. 차량을 소유한 대한민국 국민이라면 무조건 내야하는 세금 입니다.

자동차세 계산기

승용차의 경우, 아래와 같은 과세표준에 따라서 세금을 계산할 수 있습니다.

비영업용 승용차
배기량 (cc) 세율 (원/cc)
1,000cc 이하 80원
1,600cc 이하 140원
1,600cc 초과 200원
전기차 20,000원
영업용 승용차
배기량 (cc) 세율 (원/cc)
1,000cc 이하 18원
1,600cc 이하 18원
2,500cc 이하 19원
2,500cc 초과 24원
전기차 100,000원

자동차세 할인받고 연납신청

비영업용 승용차의 경우, 차량 등록 후 만 2년이 초과되는 해부터 매년 5%씩 감면되어 최대 50%까지 경감됩니다. 또한, 비영업용 승용차에는 자동차세액의 30%가 지방교육세로 추가 부과됩니다.

1. 자동차 세금표 – 800cc ~ 1800cc

보유 기간에 따른 자동차세는 아래와 같습니다. (단위: 원)

보유기간 800cc 1000cc 1300cc 1500cc 1800cc
1~2년 83,200 104,000 236,600 273,000 468,000
3년 79,040 98,800 224,770 259,350 444,600
4년 74,880 93,600 212,940 245,700 421,200
5년 70,720 88,400 201,110 232,050 397,800
6년 66,560 83,200 189,280 218,400 374,400
7년 62,400 78,000 177,450 204,750 351,000
8년 58,240 72,800 165,620 191,100 327,600
9년 54,080 67,600 153,790 177,450 304,200
10년 49,920 62,400 141,960 163,800 280,800
11년 45,760 57,200 130,130 150,150 257,400
12년 41,600 52,000 118,300 136,500 234,000

자동차세 할인받고 연납신청

2. 자동차 세금표 – 2000cc ~ 3000cc

보유 기간에 따른 자동차세는 아래와 같습니다. (단위: 원)

보유기간 2000cc 2200cc 2500cc 2800cc 2900cc 3000cc
1~2년 520,000 572,000 650,000 728,000 754,000 780,000
3년 494,000 543,400 617,500 691,600 716,300 741,000
4년 468,000 514,800 585,000 655,200 678,600 702,000
5년 442,000 486,200 552,500 618,800 640,900 663,000
6년 416,000 457,600 520,000 582,400 603,200 624,000
7년 390,000 429,000 487,500 546,000 565,500 585,000
8년 364,000 400,400 455,000 509,600 527,800 546,000
9년 338,000 371,800 422,500 473,200 490,100 507,000
10년 312,000 343,200 390,000 436,800 452,400 468,000
11년 286,000 314,600 357,500 400,400 414,700 429,000
12년 260,000 286,000 325,000 364,000 377,000 390,000

자동차세 할인받고 연납신청

3. 자동차 세금표 – 3200cc ~ 5000cc

보유 기간에 따른 자동차세는 아래와 같습니다. (단위: 원)

보유기간 3200cc 3500cc 4000cc 4500cc 5000cc
1~2년 832,000 910,000 1,040,000 1,170,000 1,300,000
3년 790,400 864,500 988,000 1,111,500 1,235,000
4년 748,800 819,000 936,000 1,053,000 1,170,000
5년 707,200 773,500 884,000 994,500 1,105,000
6년 665,600 728,000 832,000 936,000 1,040,000
7년 624,000 682,500 780,000 877,500 975,000
8년 582,400 637,000 728,000 819,500 910,000
9년 540,800 591,500 676,000 760,500 845,000
10년 499,200 546,000 624,000 702,000 780,000
11년 457,600 500,500 572,000 643,500 715,000
12년 416,000 455,000 520,000 585,000 650,000

자동차세 할인받고 연납신청

4. 자동차 세금표 – 화물차/승합차

화물차와 승합차의 경우, 승용차와 달리 연식에 따른 감면 혜택이 없으며, 세금은 아래와 같습니다. (단위: 원)

화물차 및 승합차 자동차세
비영업용 화물차
적재량 세율 (원)
1톤 이하 28,500원
2.5톤 이하 40,000원
5톤 이하 65,000원
8톤 이하 95,000원
10톤 이하 115,000원
10톤 초과 150,000원
영업용 화물차
적재량 세율 (원)
1톤 이하 13,000원
2.5톤 이하 19,000원
5톤 이하 32,000원
8톤 이하 47,000원
10톤 이하 57,000원
10톤 초과 75,000원
비영업용 승합차
정원 세율 (원)
15인승 이하 65,000원
15인승 초과 115,000원
영업용 승합차
정원 세율 (원)
15인승 이하 22,000원
15인승 초과 38,000원

자동차세 할인받고 연납신청

자동차 세금표 관련 FAQ

자동차세는 언제 납부해야 하나요? +
자동차세는 연 2회 부과되며, 1차는 6월 16일부터 30일까지, 2차는 12월 16일부터 31일까지 납부해야 합니다. 연납 제도를 이용하면 연초에 한 번만 납부하고 세금을 절약할 수 있습니다.
자동차세 연납 제도란 무엇인가요? +
자동차세 연납 제도는 매년 1월에 자동차세를 한꺼번에 납부하면 10% 세금 할인을 받을 수 있는 제도입니다. 3월, 6월, 9월에도 연납 신청이 가능하며, 할인율은 해당 기간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자동차세는 어떤 기준으로 부과되나요? +
자동차세는 차량의 배기량(cc), 용도(영업용/비영업용), 차종(승용차, 화물차, 승합차)에 따라 부과됩니다. 예를 들어, 비영업용 승용차는 배기량에 따라 cc당 세율이 적용됩니다.
자동차세를 납부하지 않으면 어떻게 되나요? +
자동차세를 납부하지 않을 경우 연체료가 부과됩니다. 장기 미납 시 차량 등록이 제한되거나 번호판이 영치될 수 있으므로 기한 내 납부가 중요합니다.
자동차세를 납부할 수 있는 방법은 무엇인가요? +
자동차세는 인터넷 납부(위택스, 지방세 포털), 은행 창구, CD/ATM, 모바일 앱 등을 통해 납부할 수 있습니다. 자동이체를 신청하면 납부 기한을 놓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자동차세는 이전 등록 시 어떻게 계산되나요? +
자동차를 중고로 구매하거나 소유권을 이전할 경우, 소유권 이전일을 기준으로 일할 계산됩니다. 새 소유자가 남은 기간에 대한 세금을 부담합니다.
화물차와 승합차의 자동차세는 어떻게 다른가요? +
화물차는 적재량, 승합차는 정원에 따라 자동차세가 부과됩니다. 또한, 영업용 차량의 경우 비영업용 차량보다 세율이 낮습니다.
자동차세 감면 혜택은 어떤 경우에 받을 수 있나요? +
장애인, 국가유공자, 저공해차량 소유자는 자동차세 감면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 해당 조건에 해당할 경우 관할 지방자치단체에 신청해야 합니다.
전기차와 하이브리드차의 자동차세는 어떻게 부과되나요? +
전기차는 배기량 기준이 아닌 차량의 등록 용도에 따라 세금이 부과됩니다. 하이브리드차는 배기량을 기준으로 하지만 일부 지방자치단체에서 감면 혜택을 제공할 수 있습니다.
자동차세 납부 영수증은 어떻게 확인할 수 있나요? +
자동차세 납부 영수증은 위택스, 지방세 포털, 또는 은행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모바일 납부의 경우, 납부 확인증을 바로 출력하거나 이메일로 받을 수 있습니다.

이 게시물이 얼마나 유용했나요?

별을 클릭하여 평가하세요!

평균 평점 5 / 5. 평가 집계 556

아직 평가가 없습니다! 이 게시물을 가장 먼저 평가해 주세요.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