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 목차(Table of Contents)
구 우편번호 검색은 과거에 사용되던 6자리 우편번호(예: 123-456) 또는 그 이전의 3자리/5자리 우편번호(예: 100, 120-01)를 조회하는 과정을 의미합니다. 2015년 8월 1일부터 도로명주소와 5자리 우편번호(예: 12345) 체계로 전환되었지만, 오래된 문서, 계약서, 주소록 등에서 구 우편번호를 확인해야 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특히, 2025년 기준으로 구 우편번호는 공식적으로 사용되지 않지만, 과거 기록을 확인하거나 지번주소 기반의 정보를 찾는 데 필수입니다. 이 글에서는 최신 정보를 바탕으로 구 우편번호 검색 방법, 절차, 주의사항 등을 자세하게 설명 합니다.
구 우편번호 검색 안내
구 우편번호는 한국에서 2015년 7월 31일 이전에 사용된 우편번호 체계를 말합니다. 한국의 우편번호는 1970년 7월 1일 처음 도입된 이래 여러 차례 개정되었으며, 주요 구 우편번호 체계는 다음과 같습니다.
연대 | 형식 | 설명 | 예시 | 특이사항 |
---|---|---|---|---|
1970년~1987년 | 3자리 또는 5자리 | 우체국별로 번호 부여, 철도 운송 선로 기준으로 행정구역과 불일치 사례 다수. | 서울중앙우체국(100), 서울수색우체국(120-01). | 400번대는 결번, 700번대는 군사우편, 800~900번대는 북한 지역. |
1988년~2015년 7월 | 6자리 | 앞 3자리는 시·군·구 등 행정구역, 뒤 3자리는 동·면·리 단위로 세분화. | 서울 은평구 수색동(122-090), 부산 해운대구 우동(612-021). | 지번주소 기반으로 배달 효율성을 높였으나, 도로명주소 전환으로 폐지. |
2015년 8월 1일부터는 도로명주소법과 국가기초구역제도에 따라 5자리 우편번호(예: 03488, 서울 은평구 수색동 주민센터 일대)가 도입되었으며, 구 우편번호는 공식적으로 사용 중단되었습니다. 하지만 과거 기록이나 법적 문서에서 구 우편번호가 필요할 때 검색이 필수적입니다.
구 우편번호 검색이 필요한 경우
항목 | 설명 |
---|---|
과거 문서 확인 | 계약서, 등기부등본, 오래된 주소록에서 6자리 우편번호 확인. |
지번주소 기반 검색 | 도로명주소로 전환되지 않은 과거 주소 조회. |
기업 데이터 관리 | 고객 DB, 물류 시스템에서 구 우편번호와 신 우편번호 매핑 필요. |
행정 절차 | 일부 지자체, 금융기관에서 구 우편번호 참조 요구 사례. |
구 우편번호 검색 방법: 2025년 기준
2025년 기준, 구 우편번호 검색은 공식적으로 중단된 6자리 우편번호 체계로 인해 제한적이지만, 다양한 온라인 플랫폼과 공공 서비스를 통해 가능합니다. 아래에서 주요 검색 방법을 상세히 정리했습니다.
웹에서 구 우편번호 검색 하는 방법
- 이포스트114(ePOST114) 홈페이지에 접속합니다.
- 상단의 통합검색창에 구 우편번호 조회를 원하는 주소를 검색합니다. (예시: 테헤란로 538)
- 검색 결과에서 지번 주소의 6자리 우편번호를 확인를 확인 할 수 있습니다.

구 우편번호 외에도 지도, DM, 복사, 저장 등 다양한 기능을 지원 합니다.
구 우편번호 텍스트 파일 검색 방법
구 우편번호 .txt파일 검색 방법을 각 단계는 초보자도 따라 할 수 있도록 명확히 설명 해보겠습니다.
- 우체국에서 제공하는 지역별 도로명 주소 우편번호를 정리해놓은 리스트 다운로드 페이지에 접속합니다.
- 페이지에서 구 우편번호 조회를 원하는 지역의 .zip파일을 다운로드 합니다.
- 다운로드 된 압축 파일의 압축을 해제 합니다.
- .txt 파일을 클릭하여 실행 합니다.
- 파일의 첫 번째 줄에 있는 6자리의 숫자가 구 우편번호 입니다. Ctrl+F 키를 눌러 원하는 주소를 검색하여 구 우편번호 6자리를 확인 합니다.
.txt 파일을 엑셀로 변환하면 좀 더 보기 쉽게 정리가 됩니다.
구 우편번호 검색 시 주의사항
1. 데이터 정확성
- 지번주소 확인: 동·리·번지 오류로 잘못된 우편번호 검색 가능.
- 해결법: 토지대장, 등기부등본으로 주소 검증.
- 비공식 사이트 주의: 최신성 미보장, 공식 사이트(www.juso.go.kr, www.epost.go.kr) 우선.
2. 기술적 문제
- 파일 형식: txt 파일은 엑셀로 변환 필요, 한글 깨짐 주의.
- 해결법: 메모장 또는 엑셀 UTF-8 설정으로 오픈. 👉 설정 방법 자세히 보기
- 검색 속도: 대량 데이터 조회 시 서버 부하로 지연 가능.
- 해결법: 비수기 시간대(오전 9시 이전, 오후 10시 이후) 이용.
구 우편번호 검색 관련 FAQ
Q. 구 우편번호란 무엇인가요?
구 우편번호는 2015년 8월 이전에 사용되던 6자리 우편번호 체계로, 우체국별 배달 구역을 기준으로 부여되었습니다. 현재는 5자리 국가기초구역번호로 대체되었습니다.
Q. 구 우편번호는 어디서 검색할 수 있나요?
구 우편번호는 인터넷 우체국(www.epost.go.kr)이나 다음 우편번호 서비스(postcode.map.daum.net)에서 지번주소로 검색 가능합니다. 일부 민간 사이트도 변환 기능을 제공합니다.
Q. 구 우편번호 검색은 무료인가요?
네, 대부분의 공식 사이트(우체국, 다음)와 민간 검색 사이트에서 무료로 구 우편번호를 조회할 수 있습니다.
Q. 왜 구 우편번호가 필요한가요?
일부 오래된 시스템, 서류, 또는 지번주소 기반 서비스(예: 택배, 은행)에서 여전히 구 우편번호를 요구하는 경우가 있어 검색이 필요합니다.
Q. 구 우편번호와 새 우편번호의 차이는 무엇인가요?
구 우편번호는 6자리로 우체국 배달 구역 기준, 새 우편번호는 5자리로 도로명주소와 국가기초구역을 기준으로 부여됩니다. 새 체계는 배달 효율성을 높였습니다.
Q. 지번주소 없이 구 우편번호를 찾을 수 있나요?
어렵습니다. 구 우편번호는 지번주소(예: 서울 강남구 개포동 14-4)에 연계되어 있으므로 정확한 주소를 알아야 검색 가능합니다.
Q. 검색 시 결과가 안 나올 때는 어떻게 해야 하나요?
주소 입력 오류일 수 있으니 시/도, 구, 동, 지번을 정확히 확인하세요. 또는 우체국 고객센터(1588-1300)에 문의하면 도움을 받을 수 있습니다.
Q. 구 우편번호는 여전히 유효한가요?
아닙니다. 공식적으로는 2015년 8월부터 새 우편번호로 전환되었지만, 일부 민간 업체나 개인이 구 우편번호를 참고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Q. 모바일로도 구 우편번호를 검색할 수 있나요?
네, 우체국 모바일 사이트나 다음 우편번호 앱, 네이버 검색을 통해 스마트폰에서도 쉽게 검색할 수 있습니다.
Q. 구 우편번호 검색 시 주의할 점은 무엇인가요?
비공식 사이트 이용 시 잘못된 정보가 제공될 수 있으니, 공식 우체국 사이트나 신뢰할 수 있는 포털(다음, 네이버)을 이용하는 것이 안전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