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체력100 등급표: 연령 별 인증 1등급~3등급 기준 정리

5
(999)

국민체력100은 국민체육진흥공단이 운영하는 대국민 스포츠 복지 서비스로, 과학적인 체력 측정을 통해 개인의 체력 상태를 평가하고 맞춤형 운동 처방을 제공합니다. 이 프로그램은 유아부터 노년층까지 전 연령대를 대상으로 하며, 측정 결과에 따라 1등급, 2등급, 3등급으로 나뉘는 국민체력100 등급표를 기반으로 인증서를 발급합니다.

👉 국민체력100 등급표 및 체력 측정 항목, 가이드 자세히 보기

이 글에서는 국민체력100의 등급표, 측정 항목, 등급 기준, 신청 방법, 그리고 실질적인 팁을 자세하게 설명 합니다.

국민체력100 등급표 안내

국민체력100-등급표-관련-이미지

국민체력100은 국민체육진흥법 제16조의2에 근거하여 2013년부터 시행된 국가 주도의 체력 관리 서비스입니다. 이 프로그램은 국민의 건강 증진과 생활체육 참여를 유도하기 위해 만들어졌으며, 전국 76개 체력인증센터에서 무료로 제공됩니다.

체력측정 항목 및 측정 방법

국민체력100은 단순히 체력을 측정하는 데 그치지 않고, 결과에 따라 등급을 부여하고 운동 계획을 제안해줍니다.

대상 연령

  • 유아기: 만 4세~6세(48개월~83개월).
  • 유소년기: 만 11세~12세.
  • 청소년기: 만 13세~18세.
  • 성인기: 만 19세~64세.
  • 노년기: 만 65세 이상.

국민체력100 등급표: 1등급

아래의 등급표는 성인(만19세~64세) 기준의 국민체력100 등급표 입니다.

성별 연령(만) 심폐지구력 근력
상대악력 (%)
근지구력
교차윗몸 일으키기 (회)
유연성
앉아 윗몸 앞으로 굽히기 (cm)
민첩성
10미터 왕복 달리기 (초)
순발력
20m 왕복 오래달리기 (회) 트레드밀/스텝검사 (ml/kg/min) 반응시간 (초) 제자리 멀리뛰기 (cm) 체공시간 (초)
19~24 62 47.6 62.6 55 16.1 9.9 0.301 229 0.605
25~29 54 44.8 62.4 51 14.9 10.3 0.302 223 0.591
30~34 49 42.9 62.6 47 14.2 10.6 0.304 219 0.583
35~39 45 41.8 62.1 45 14.0 10.9 0.311 214 0.581
40~44 42 40.9 62.8 44 14.2 11.0 0.320 209 0.547
45~49 40 40.1 62.0 41 13.6 11.3 0.331 202 0.524
50~54 35 38.8 60.5 38 13.9 11.8 0.337 192 0.527
55~59 31 37.7 59.4 35 13.3 12.3 0.348 183 0.508
60~64 26 36.3 56.8 31 11.8 13.1 0.351 170 0.474
19~24 30 36.8 46.8 36 19.7 12.3 0.332 162 0.479
25~29 28 36.0 47.0 33 18.5 12.7 0.343 156 0.466
30~34 26 34.8 49.6 31 18.2 12.9 0.347 154 0.464
35~39 25 34.2 47.5 31 18.9 13.0 0.348 155 0.453
40~44 24 33.8 47.1 30 18.8 13.1 0.345 153 0.442
45~49 23 33.0 46.2 28 18.9 13.4 0.350 148 0.431
50~54 21 32.3 44.7 24 19.5 13.8 0.354 138 0.407
55~59 18 31.3 43.2 20 19.5 14.5 0.369 129 0.402
60~64 15 30.2 41.9 17 19.6 15.3 0.387 120 0.393

다른 연령대 국민체력100 등급표: 1등급

국민체력100 등급표: 2등급

아래의 등급표는 성인(만19세~64세) 기준의 국민체력100 등급표 입니다.

성별 연령(만) 심폐지구력 근력
상대악력 (%)
근지구력
교차윗몸 일으키기 (회)
유연성
앉아 윗몸 앞으로 굽히기 (cm)
민첩성
10미터 왕복 달리기 (초)
순발력
20m 왕복 오래달리기 (회) 트레드밀/스텝검사 (ml/kg/min) 반응시간 (초) 제자리 멀리뛰기 (cm) 체공시간 (초)
19~24 52 44.8 57.2 48 11.1 10.9 0.330 213 0.568
25~29 44 42.2 57.0 45 10.1 11.2 0.335 208 0.559
30~34 40 40.6 57.2 41 9.4 11.6 0.337 204 0.548
35~39 37 39.5 56.6 39 9.3 11.9 0.339 199 0.551
40~44 35 38.8 57.2 38 9.5 12.1 0.346 195 0.521
45~49 32 38.1 56.7 36 9.1 12.5 0.366 188 0.497
50~54 28 36.9 55.3 32 9.3 13.0 0.371 177 0.486
55~59 25 35.9 54.2 29 8.6 13.7 0.383 168 0.475
60~64 20 34.8 51.7 25 7.1 14.6 0.402 154 0.443
19~24 25 34.8 42.4 30 14.9 13.2 0.374 149 0.447
25~29 23 34.1 42.6 27 13.8 13.6 0.383 144 0.442
30~34 21 32.9 45.2 25 13.8 13.9 0.382 142 0.437
35~39 20 32.3 43.1 25 14.5 13.9 0.388 144 0.425
40~44 20 32.0 42.8 25 14.6 14.0 0.382 142 0.417
45~49 18 31.4 41.9 22 14.8 14.4 0.392 136 0.404
50~54 16 30.7 40.6 19 15.6 14.9 0.395 126 0.381
55~59 14 29.8 39.2 15 15.7 15.8 0.416 117 0.374
60~64 12 29.0 38.0 12 15.7 16.8 0.434 107 0.366

다른 연령대 국민체력100 등급표: 2등급

국민체력100 등급표: 3등급

아래의 등급표는 성인(만19세~64세) 기준의 국민체력100 등급표 입니다.

성별 연령(만) 심폐지구력 근력
상대악력 (%)
근지구력
교차윗몸 일으키기 (회)
유연성
앉아 윗몸 앞으로 굽히기 (cm)
20m 왕복 오래달리기 (회) 트레드밀/스텝검사 (ml/kg/min)
19~24 41 42.0 51.8 42 6.1
25~29 34 39.6 51.6 38 5.3
30~34 31 38.2 51.8 35 4.6
35~39 28 37.2 51.1 33 4.6
40~44 27 36.6 51.6 32 4.8
45~49 24 36.0 51.4 30 4.6
50~54 21 35.0 50.1 26 4.7
55~59 18 34.1 49.0 23 3.9
60~64 15 33.2 46.6 19 2.3
19~24 19 32.8 38.0 23 10.1
25~29 17 32.2 38.2 21 9.1
30~34 16 31.0 40.8 19 9.4
35~39 15 30.5 38.7 19 10.1
40~44 15 30.3 38.5 19 10.4
45~49 14 29.7 37.6 16 10.7
50~54 12 29.1 36.5 13 11.7
55~59 11 28.4 35.2 9 11.9
60~64 9 27.7 34.1 7 11.8

다른 연령대 국민체력100 등급표: 3등급

📢 공통사항
BMI(㎏/㎡)
: 18초과~25미만
체지방률(%): 16%초과~32%미만

국민체력100 등급 잘 받는 팁

1등급을 목표로 한다면 준비와 연습이 중요합니다. 아래 팁을 참고하세요.

1. 측정 전 준비

  • 체력 관리: 측정 1~2주 전부터 유산소(달리기), 근력(스쿼트) 운동 병행.
  • 컨디션 조절: 전날 과식, 음주 피하고 충분한 수면.
  • 체지방 관리: 과체중 시 등급 외 위험, 식단 조절 권장.

2. 항목별 연습

  • 심폐지구력: 인터벌 러닝으로 트레드밀 적응.
  • 근력: 악력기 사용(상대악력은 체중 대비 점수 보정).
  • 순발력: 제자리 멀리뛰기 연습(발바닥 전체 착지 주의).

3. 센터 방문 시

  • 워밍업: 측정 전 스트레칭으로 근육 이완.
  • 항목 순서: 민첩성, 순발력 먼저 진행 후 심폐지구력 요청(체력 소진 방지).

국민체력100 등급표의 활용

국민체력100 등급 인증서는 건강 관리뿐 아니라 취업에서도 점차 중요해지고 있습니다. 아래에서 주요 활용 사례를 살펴봅니다.

1. 개인 건강 관리

  • 체력 상태 파악: 근력, 심폐지구력 등 약점 확인.
  • 운동 계획: 전문가의 처방으로 운동 루틴 설계.

2. 취업 및 채용

  • 공공기관: 국방부(부사관, 모집병), 지자체(환경미화원, 청원경찰) 등에서 등급 인증서 제출 요구 증가.
  • 가점 활용: 1등급 인증 시 채용 점수 추가 가능(기관별 상이).

3. 인센티브

  • 튼튼머니: 측정 참여 시 스포츠상품권(최대 5만 원) 지급(만 14세 이상).
  • 문화상품권: 만 14세 미만 대상.

국민체력100 등급표는 2025년 기준으로 연령대별 체력 수준을 명확히 보여주며, 1~3등급 인증을 통해 건강 관리와 관련 업종의 취업 경쟁력을 높일 수 있는 지표입니다.

전국 체력인증센터에서 무료로 제공되는 이 서비스는 누구나 쉽게 참여할 수 있으며, 특히 1등급을 목표로 준비한다면 운동 습관까지 개선할 수 있습니다. 지금 국민체력100 홈페이지에서 예약하고, 자신의 체력 등급을 확인해보세요. 건강한 삶과 더 나은 기회를 위한 첫걸음을 내딛어 보세요!

국민체력100 등급표 관련 FAQ

Q. 국민체력100 등급은 어떻게 나뉘나요?

측정 항목의 백분위 점수 평균을 기준으로 1등급(70 이상), 2등급(50~69), 3등급(30~49)으로 나뉩니다. 30 미만은 등급 외로 판정됩니다.

Q. 등급은 어떤 항목으로 결정되나요?

연령대별로 다르며, 성인기(만 19~64세) 기준 신체조성(체지방률), 심폐지구력, 근력, 근지구력, 유연성, 민첩성, 순발력 등 7개 항목의 평균 점수로 계산됩니다.

Q. 체지방률이 높으면 등급에 영향이 있나요?

네, 체지방률이 기준을 초과하면(성인 남성 25%, 여성 33% 이상) 등급 외로 판정될 수 있습니다. 신체조성이 등급 산출에 포함되기 때문입니다.

Q. 연령대마다 등급 기준이 다른가요?

네, 유아기(만 4~6세), 유소년기(만 11~12세), 청소년기(만 13~18세), 성인기(만 19~64세), 노년기(만 65세 이상)마다 측정 항목과 기준이 달라집니다.

Q. 유아기 등급표도 있나요?

유아기는 인증 등급이 없고 참고용 결과지만 제공됩니다. 측정 항목(악력, 멀리뛰기, 공 옮기기)의 백분위 점수만 확인 가능합니다.

Q. 등급 인증서는 어디서 받나요?

측정 후 체력인증센터에서 즉시 발급되며, 국민체력100 홈페이지 마이페이지에서도 다운로드할 수 있습니다.

Q. 등급이 낮으면 재응시할 수 있나요?

네, 등급 외나 낮은 등급을 받은 경우 언제든 재예약 후 응시 가능합니다. 제한은 없습니다.

Q. 1등급을 받으려면 어떤 준비가 필요하나요?

심폐지구력(트레드밀), 근력(악력), 순발력(멀리뛰기) 등을 1~2주 전부터 연습하고, 체지방률을 기준 이하로 유지해야 합니다.

Q. 등급표는 어디서 확인하나요?

국민체력100 홈페이지(nfa.kspo.or.kr)의 ‘인증기준’ 메뉴에서 연령대별 상세 등급표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Q. 등급 인증에 비용이 드나요?

아니요, 모든 측정과 인증은 무료입니다. 국민체육진흥기금으로 운영됩니다.

이 게시물이 얼마나 유용했나요?

별을 클릭하여 평가하세요!

평균 평점 5 / 5. 평가 집계 999

아직 평가가 없습니다! 이 게시물을 가장 먼저 평가해 주세요.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