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 목차(Table of Contents)
도시가스 전출신고는 이사나 거주지 변경 시 필수 절차로, 도시가스 사용을 종료하고 다음 사용자를 위한 준비를 위한 중요한 단계입니다. 2025년 현재, 도시가스 전출신고는 한국가스공사와 지역별 도시가스 회사(예: 삼천리, 대성청정에너지, 서울도시가스 등)에 의해 관리되며, 도시가스사업법에 따라 법적 의무로 규정되어 있습니다.
👉 JB 충남 중부 도시가스 고객센터 (천안 아산 세종 등) 전화번호 위치 비용 안내
👉 대구 도시가스 고객센터 대성에너지 서비스 센타 전화번호 지점 안내(연결신청 해지 등)
도시가스 전출신청을 미루게 되면, 요금 미납, 다음 사용자와의 분쟁, 심지어 추가 비용 부과와 같은 문제를 초래할 수 있습니다.
도시가스 전출신고 신청 안내
도시가스 전출신고는 기존 거주지에서 도시가스 사용을 종료하고 이사를 나갈 때, 해당 지역의 도시가스 공급업체에 사용 중단을 신고하는 과정입니다. 이는 사용 종료 후 요금 정산을 완료하고, 가스 공급 시스템을 안전하게 마감하며, 새로운 거주자가 계약을 시작할 수 있도록 준비하는 데 목적이 있습니다.
도시가스 전출신고 전 준비사항
도시가스 전출신고를 원활히 진행하려면 철저한 사전 준비가 필요합니다. 준비 부족은 신고 지연, 추가 비용, 또는 안전 문제로 이어질 수 있으므로 아래 항목을 상세히 점검하세요.
1. 계약 정보 확인
- 계약자 정보: 본인 이름과 주민등록번호(또는 사업자등록번호, 법인 계약 시).
- 예: 김영희, 900101-1234567.
- 계약 번호: 도시가스 고지서나 앱에서 확인 가능한 고유 번호.
- 예: SCG-1234-567890.
- 사용 주소: 전출하는 정확한 주소(도로명 주소 기준).
- 예: 서울시 강남구 테헤란로 123-45, 101호.
- 추가 확인: 공동 명의 계약의 경우, 동반 계약자 동의 필요(서면 또는 전화 확인).
2. 미사용 확인 및 안전 점검
- 가스기기 점검: 보일러, 가스레인지, 온수기 등이 사용 중인지 확인.
- 사용 중인 기기가 있다면 사용 중단 후 밸브 잠금.
- 가스 누출 테스트: 비눗물(또는 전용 누출 탐지제)을 밸브 주변에 발라 거품 발생 여부 확인.
- 거품 발생 시 즉시 도시가스 고객센터(예: 1544-3002)에 연락.
- 전문가 호출: 이사 전 전문가 점검 요청 가능(비용 약 5,000~10,000원, 회사 정책에 따라 무료 제공 지역도 있음).
3. 요금 청구서 및 미납 확인
- 최신 청구서 준비: 최근 1~2개월 분 청구서를 보관.
- 미납 요금 점검: 미납 시 전출신고 불가 지역 존재(납부 후 영수증 제출 필요).
- 예: 2025년 2월 요금 미납 시 3월 10일 신고 불가.
- 자동이체 해지: 자동이체 납부자라면 이사 전 해지 신청(온라인 또는 고객센터).
4. 이사 일정 및 문서 준비
- 이사 일정: 전출신고는 이사 3일 전부터 가능, 늦어도 당일 완료 권장.
- 필요 문서: 신분증, 계약서 사본, 임대차 계약 종료 증명(임차인 시).
- 예약 확인: 방문 신고 시 사전 예약 필수(온라인 또는 전화).
도시가스 전출신고 상세 절차
도시가스 전출신고는 지역별 공급업체에 따라 약간의 차이가 있지만, 아래는 2025년 3월 10일 기준 일반적인 절차입니다. 각 단계를 상세히 따라가세요.
1단계: 한국도시가스협회 홈페이지 접속

한국도시가스협회 홈페이지(http://www.citygas.or.kr/)에 접속 한 뒤, 메인 화면에서 ‘고객센터 찾기‘ 섹션에서 ‘전입/전출‘ 메뉴를 클릭 합니다. (위 이미지 참고)
주의: 일부 아파트는 관리사무소가 중개 역할 수행(확인 필수)
2단계: 관할 도시가스 회사 확인
본인의 거주 지역을 지도를 통해 정확하게 선택 합니다. 도시가스 고객센터 조회 화면으로 이동 되면, 관할 구역의 도시가스 회사명을 확인할 수 있고, 회사명을 클릭하면, 해당 도시가스 회사의 홈페이지로 이동 됩니다. (위 이미지 참고)
관할구역의 도시가스사의 전화번호도 확인할 수 있으며, 영업시간 내라면 전화로 바로 물어볼 수도 있습니다.
전국 도시가스 공급사 리스트
전국 도시가스 공급업체
지역 | 도시가스 공급업체 | 전화번호 | 홈페이지 |
---|---|---|---|
서울 | 코원에너지서비스㈜ | 1599-3366 | 바로가기 |
서울 | ㈜예스코 | 1544-3131 | 바로가기 |
서울 | 서울도시가스㈜ | 1588-5788 | 바로가기 |
서울/인천 | ㈜삼천리 | 1544-3002 | 바로가기 |
인천 | 인천도시가스㈜ | 032-890-5114 | 바로가기 |
부산 | ㈜부산도시가스 | 1544-0009 | 바로가기 |
대구 | 경동도시가스㈜ | 053-656-5114 | 바로가기 |
광주 | 광주도시가스㈜ | 062-950-5114 | 바로가기 |
대전 | 대전도시가스㈜ | 042-580-5114 | 바로가기 |
울산 | 서라벌도시가스㈜ | 052-222-0119 | 바로가기 |
경기 | 강남도시가스㈜ | 031-260-1119 | 바로가기 |
경기 | 경기도시가스㈜ | 031-974-3119 | 바로가기 |
강원 | 춘천도시가스㈜ | 033-260-5119 | 바로가기 |
충북 | 청주도시가스㈜ | 043-710-5114 | 바로가기 |
충남 | 미래엔서해에너지㈜ | 041-410-3114 | 바로가기 |
전북 | 전북도시가스㈜ | 063-250-5114 | 바로가기 |
전남 | 전남도시가스㈜ | 061-740-5114 | 바로가기 |
경북 | 영남에너지서비스㈜ | 054-820-5114 | 바로가기 |
경남 | 창원도시가스㈜ | 055-270-5114 | 바로가기 |
제주 | 제주도시가스㈜ | 064-740-5114 | 바로가기 |
3단계: 관할 구역 도시가스 홈페이지 내 전출신고 신청하기 선택

관할 구역의 도시가스사 홈페이지로 이동하게 되면, ‘전출신청‘ 메뉴를 확인할 수 있으며, ‘신청하기‘를 클릭 합니다. (위 예시 이미지 참고)
4단계: 온라인 전출입신청서 작성 및 신청 완료
전출신청을 각 도시가스사에 절차에 따라서 진행 합니다. 예시로 코원 에너지 서비스의 온라인 전출신청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 서비스 약관 동의: 전출입 신청에 관련된 서비스 이용 약관에 동의를 합니다.
- 전출 신청 정보 입력: 주소 정보, 신청자 정보, 일자/시간 선택을 정확하게 입력 후 전출예약신청을 클릭 합니다.
- 카카오톡 알림톡 확인: 신청이 완료되면, 카카오톡 알림톡으로 신청내용이 전송되며, 정상적으로 접수 된 것을 확인 하고 완료 합니다.
도시가스 전출신고 주의사항
1. 제출 시기
- 권장 시기: 이사 3~5일 전(예: 3월 15일 이사 시 3월 10~12일 신고).
- 최대 한도: 이사 당일까지 가능(당일 예약 가득 시 지연 우려).
- 늦은 신고 영향: 다음 사용자 계약 지연, 추가 요금(최대 5,000원/월) 부과 가능.
2. 미납 요금 처리
- 미납 요금 시 전출신고 거부(서울, 부산 등 일부 지역).
- 납부 후 영수증 제출(온라인 업로드 또는 방문 제출).
- 자동이체 미해지 시 다음 청구서에 반영될 수 있음.
3. 오류 수정 방법
- 온라인 오류: 수정 불가, 새 신고 필요(고객센터 연락 후 무효 처리).
- 방문 수정: 고객센터 방문 시 신분증과 오류 증빙 제출.
- 예방법: 신고 전 여권, 계약서 확인.
4. 면제 대상
- 임대차 종료: 임차인 대신 임대인이 신고(계약서 증빙 필요).
- 공공기관 건물: 별도 절차(기관 담당자 연락).
- 임시 거주: 1개월 미만 사용 시 면제 가능(회사 정책에 따라 상이).
도시가스 전출신고 팁
1. 사전 준비
- 1주일 전 점검: 요금 청구서, 계약 번호, 주소 확인.
- 문서 준비: 신분증, 임대차 종료 증명, 영수증 사본.
- 연락처 저장: 고객센터 번호, 앱 다운로드.
2. 시간 관리
- 최적 시간: 평일 오전 09:00~11:00(대기 최소화).
- 이사 전날: 온라인 신고로 시간 확보.
- 공휴일 주의: 2025년 3월 1일(3·1절), 3월 2일(대체공휴일) 휴무.
1 thought on “도시가스 전출신고 온라인 신청 방법 및 주의 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