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불감시원 급여(월급) 및 모집공고 신청 방법 안내

5
(998)

산불감시원은 대한민국 산림을 보호하고 산불을 예방하는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는 직업입니다. 특히 봄철(2월 1일~5월 15일)과 가을철(11월 1일~12월 15일) 산불 조심 기간에 각 지자체와 산림청에서 산불감시원을 대규모로 채용하며, 이들의 급여와 근무 조건은 관심의 대상입니다.

👉 산불감시원 모집 공고 및 급여 확인 자세히 보기

이 글에서는 산불감시원 급여를 중심으로, 자격 요건, 임무, 채용 절차, 근무 조건, 그리고 주의사항을 자세하게 설명 합니다.

산불감시원 급여 및 모집공고 안내

산불감시원은 산불 예방과 초동 진화를 목표로 산림청과 각 지방자치단체에서 운영하는 기간제 근로자입니다. 대한민국은 국토의 약 70%가 산림으로 이루어져 있어 산불로 인한 피해가 심각할 수 있습니다. 이에 따라 산불감시원은 산불 발생을 사전에 차단하고, 발생 시 신속히 대응하는 핵심 역할을 합니다.

신규 산불감시원 모집 공고

이들은 산불전문예방진화대로도 불리며, 산림 보호와 지역 주민의 안전을 책임지는 중요한 직업군에 속합니다.

산불감시원 급여 구조

산불감시원 급여는 지역, 근무 시간, 근무 형태(주간/야간, 감시탑/순찰)에 따라 다르며, 대체로 최저임금을 기준으로 산정됩니다. 2025년 기준 대한민국 최저임금은 시급 10,030원으로, 이를 바탕으로 산불감시원의 급여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산불감시원 급여(일급 및 월급) 기준

항목 설명
일급 하루 8시간 근무 기준 약 80,240원(10,030원 × 8시간). 일부 지역은 휴게 시간 제외 또는 추가 수당 적용으로 7만~9만원 수준.
예: 세종특별자치시 연동면 2023년 공고 기준 76,960원(4대 보험 가입).
월급 주 5일, 하루 8시간 근무 기준 한 달(20~22일) 약 160만~200만원 내외. 일부 지자체는 250만원 수준.
예: 2024년 기준 평균 월급 190만~250만원 추정.

실급여 계산기

지역별 급여 차이

급여는 지자체별 예산과 정책에 따라 다소 차이가 있습니다.

  • 강원도 속초시: 2024년 공고에 따르면 주간/야간 감시원 급여는 최저임금을 기준으로 하며, 정확한 금액은 공고문에서 확인 가능.
  • 세종특별자치시: 2023년 기준 일급 76,960원, 월급으로 환산 시 약 160만~170만원.
  • 경기도 용인시: 2023년 산불감시원 급여는 일급 약 7만6,960원(최저시급 9,620원 기준).
  • 제주시: 제주 지역은 감시원 급여가 평균 수준이며, 체력 검정 면제 사례가 있어 접근성이 높음.

추가 수당 및 혜택

  • 연장 근무 수당: 산불 발생 시 연장 근무가 요구되며, 이 경우 시간당 1.5배의 연장 수당이 지급될 수 있습니다.
  • 4대 보험: 대부분 지자체에서 국민연금, 건강보험, 고용보험, 산재보험 가입을 지원하여 안정적인 근무 환경을 제공합니다.
  • 비과세 혜택: 식대 등 일부 비과세 항목이 포함될 수 있으며, 이는 실수령액을 소폭 증가시킵니다.

산불감시원 실수령액

급여에서 소득세, 지방소득세, 4대 보험료를 공제한 실수령액은 월급 기준으로 약 85%~90% 수준입니다. 예를 들어, 월급 200만원이면 실수령액은 약 170만~180만원 정도입니다. 정확한 실수령액은 연봉(급여) 계산기를 통해 확인할 수 있습니다.

실급여 계산기

산불감시원의 주요 임무

산불감시원의 임무는 단순 감시를 넘어 예방과 초동 대응까지 포함하는 다각적인 활동입니다. 주요 임무는 다음과 같습니다.

  • 산불 감시 및 순찰: 감시탑이나 초소에서 산림을 관찰하거나 산불 취약 지역을 도보/차량으로 순찰.
  • 계도 활동: 입산통제구역의 무단 입산자, 화기물 소지자 단속.
  • 불법 행위 단속: 산림 인접 지역의 불법 소각(논·밭두렁 태우기 등) 단속 및 고발.
  • 산불 예방 활동: 산불 예방 홍보, 지역 주민 교육.
  • 초동 진화 및 지원: 산불 발생 시 초기 진화 작업 또는 소방대원 지원.
  • 산림 사업 보조: 예초기 사용, 잔불 정리 등 산림 관리 업무.

이러한 임무는 체력과 책임감을 요구하며, 특히 산불 발생 시 연장 근무위험 상황 대처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

산불감시원 자격 요건

산불감시원 자격은 지자체별로 상이하지만, 일반적인 요건은 다음과 같습니다.

  • 연령 및 주민등록: 만 18세 이상, 채용 공고일 기준 해당 지역(시·군·구)에 주민등록이 되어 있는 자.
  • 신체 조건: 산림 순찰과 감시 업무를 수행할 수 있는 건강한 체력 보유.
  • 우대 사항: 몇 가지 우대사항이 있을 수 있으며, 아래와 같습니다.
    • 지역 지리 지식: 해당 지역의 산림 및 지형을 잘 아는 자.
    • 관련 경험: 산불감시원, 산불진화대원 근무 경력 1년 이상.
    • 자격증: 임업 기능인 교육 이수자, 예초기·기계톱 사용 가능자.
    • 운전 능력: 오토바이 또는 자동차 운전 가능자(면허 및 보험 필수).
    • 취업 취약계층: 저소득층, 장애인, 고령자(65세 이상) 등 우대.

일부 지역에서는 체력 검정(예: 15kg 등짐펌프 착용 후 2km 도보)을 요구하지만, 제주시 등에서는 안전 우려로 면제되는 경우도 있습니다.

산불감시원 채용 절차

산불감시원 채용은 매년 10월(가을철)과 1월(봄철)에 집중적으로 이루어집니다. 일반적인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1. 모집 공고 확인

  • 정부24(www.gov.kr), 산림청(www.forest.go.kr), 각 지자체 홈페이지(예: 속초시, 세종시 등)에서 공고 확인.
  • 모집 기간은 보통 1~2주이며, 2025년 봄철 공고는 1월 초~중순에 시작됩니다.

2. 지원서 제출

  • 필요 서류: 산불감시원 신청서(지자체 양식).
    • 주민등록등본, 가족관계증명서.
    • 체력검정 동의서(해당 지역에 한함).
    • 우대 자격증(임업 교육 수료증, 운전면허증 등).
    • 취업 취약계층 증명서(해당자에 한함).
  • 제출 방법: 방문 접수, 이메일, 우편 등 지자체 공고문 확인 필수.

3. 선발 과정

  • 서류 심사: 자격 요건 및 우대 사항 검토.
  • 체력 검정: 일부 지역에서 등짐펌프 착용 400m~2km 도보 테스트.
  • 면접: 업무 적합성 및 지역 지리 이해도 평가.
  • 최종 합격: 합격자는 채용신체검사서 제출 후 근무 시작.

4. 근무 시작

  • 근무 기간: 봄철(2월 1일~5월 15일), 가을철(11월 1일~12월 15일).
  • 근무 시간: 주 5일, 09:00~18:00(1일 8시간, 휴게 시간 포함). 산불 상황에 따라 연장 근무 가능.

산불감시원은 산림을 보호하고 지역 사회의 안전을 책임지는 보람 있는 직업입니다. 급여는 2025년 최저임금을 기준으로 일급 약 8만~9만원, 월급 약 160만~250만원 수준이며, 4대 보험 가입과 비과세 혜택으로 안정적인 수입을 기대할 수 있습니다. 다만, 기간제 근무체력 요구로 인해 본인의 건강 상태와 근무 의지를 신중히 고려해야 합니다.

이 글을 통해 산불감시원의 급여와 근무 조건을 명확히 이해하셨기를 바랍니다. 지원을 원한다면 정부24, 산림청, 또는 지역 지자체 홈페이지를 통해 최신 모집 공고를 확인하세요. 추가 문의는 산림청(☎ 1588-3249) 또는 각 지자체 산림과로 연락하여 정확한 정보를 얻으시기 바랍니다.

산불감시원 급여 및 모집 관련 FAQ

Q. 산불감시원의 주요 업무는 무엇인가요?

산불 예방을 위한 감시 및 계도 활동, 불법 소각 단속, 산불 초동 진화, 잔불 정리, 산림 사업 보조 업무 등을 수행합니다.

Q. 산불감시원 급여는 얼마나 되나요?

지역 및 근무 조건에 따라 다르지만, 일당 약 7만~8만 원으로, 월 180만~250만 원 수준입니다. 4대 보험이 적용됩니다.

Q. 산불감시원 모집은 언제 이루어지나요?

주로 봄철(12월)과 가을철(911월)에 지자체별로 모집 공고가 나옵니다. 예를 들어, 2025년 봄철은 1월 초 공고가 많습니다.

Q. 모집 공고는 어디서 확인할 수 있나요?

정부24(www.gov.kr), 지자체 홈페이지(시·군·구청), 산림청(www.forest.go.kr) 또는 지역 읍·면사무소에서 확인 가능합니다.

Q. 산불감시원 자격 요건은 무엇인가요?

만 18세 이상, 신체 건강한 자로, 주민등록상 해당 지역 거주자가 우선입니다. 산림 경험자, 운전면허 소지자는 우대받을 수 있습니다.

Q. 체력검정은 필수인가요?

일부 지자체에서는 15kg 등짐펌프를 메고 400m~2km 걷기 같은 체력검정을 요구합니다. 지역 공고를 확인해야 합니다.

Q. 근무 기간은 어떻게 되나요?

보통 45개월(예: 2월5월, 11월~12월)이며, 예산 및 산불 상황에 따라 연장 또는 단축될 수 있습니다.

Q. 신청 방법은 무엇인가요?

지자체 지정 접수처에 방문 또는 우편으로 신청서와 주민등록등본 등을 제출하거나, 일부 지역은 전자우편으로 접수 가능합니다.

Q. 필요한 서류는 무엇인가요?

사업신청서, 주민등록등본, 개인정보 동의서, 운전면허증(해당자), 산림 관련 자격증(우대 시)이 일반적입니다.

Q. 근무 시간은 어떻게 되나요?

주 5일, 1일 8시간(09:00~18:00)이 기본이며, 산불 위험도에 따라 연장 또는 휴일 근무(대체 휴무 제공)가 있을 수 있습니다.

이 게시물이 얼마나 유용했나요?

별을 클릭하여 평가하세요!

평균 평점 5 / 5. 평가 집계 998

아직 평가가 없습니다! 이 게시물을 가장 먼저 평가해 주세요.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