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형 폐가전 수거함 위치 및 무상 수거 배출 방법

5
(889)

소형 폐가전은 가습기, 전기다리미, 청소기, 헤어드라이어 등 일상에서 흔히 사용하는 소형 전자제품이 사용 불가능해진 경우를 의미합니다. 폐가전은 일반 쓰레기나 종량제 봉투로 배출하면 안 되며, 환경 보호와 자원 순환을 위해 소형 폐가전 수거함 또는 지정된 서비스를 통해 처리해야 합니다.

👉 소형 폐가전 무료 수거 신청 바로가기 (5개 이상 부터 가능)

한국환경공단한국전자제품자원순환공제조합이 협력하여 전국적으로 소형 폐가전 수거함을 설치하고, 무료 방문수거 서비스를 운영 중입니다. 이 글에서는 소형 폐가전 수거함 위치를 찾는 방법, 지역별 설치 현황, 배출 요령, 주의사항 등을 자세하게 설명 합니다.

소형 폐가전 수거함 안내

소형 폐가전 수거함은 소형 전자제품의 무료 수거를 위해 지자체, 공공기관, 민간 업체가 설치한 전용 수거 시설입니다. 한국에서는 자원순환사회경제연구소E-순환거버넌스가 주도하여 소형 폐가전의 재활용을 촉진하며, 중금속 및 환경오염 물질 배출을 방지 할 수 있습니다.

소형 폐가전 수거함 위치 조회

2025년 기준, 소형 폐가전 수거함은 주민센터, 아파트 단지, 대형 마트, 전자제품 판매점 등 접근성이 높은 장소에 배치되어 있습니다.

소형 폐가전이란?

소형 폐가전은 일반적으로 높이 1m 미만, 무게 20kg 이하의 전자제품을 포함합니다. 대표적인 품목은 다음과 같습니다.

카테고리 항목
생활가전 가습기, 청소기, 헤어드라이어, 전기다리미, 선풍기, 믹서기, 전기밥솥, 오디오, 내비게이션, 유무선공유기
사무기기 프린터, 스캐너, 팩스, 소형 컴퓨터 본체, 키보드
기타 전기비데, 전기 재봉틀, 소형 전자레인지, 폐휴대폰

주의: 냉장고, 세탁기, TV, 에어컨 등 대형 가전은 소형 수거함 대상이 아니며, 폐가전 방문수거 배출예약시스템(15990903.or.kr)으로 별도 처리해야 합니다.

폐가전제품 무상방문수거 서비스

소형 폐가전 수거함을 이용 해야 하는 이유

  • 불법투기 방지: 최대 100만 원 과태료 부과 위험 감소.
  • 환경 보호: 중금속(납, 카드뮴)과 유해물질 누출 방지.
  • 자원 재활용: 금, 팔라듐 등 희귀금속 회수로 자원 순환.
  • 무료 서비스: 비용 없이 배출 가능, 주민 부담 감소.

소형 폐가전 수거함 위치 찾는 방법

소형 폐가전 수거함 위치는 온라인 검색, 지자체 문의, 지도 앱 활용 등 다양한 경로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2025년 기준, 아래 방법이 가장 빠르고 효과적입니다.

소형 폐가전 수거함 위치 조회

1. 순환자원정보센터 검색

단계 방법 자세히보기
1 홈페이지 접속 www.re.or.kr
2 상단 자원순환정보 클릭 Step 2 Image
3 하위 메뉴 업체정보 → 수거회수처 선택 Step 3 Image
4 지역(시/도, 시/군/구)과 장소 구분(공동주택, 주민센터, 판매점 등) 입력 Step 4 Image
5 지도보기 클릭 → 근처 수거함 상세 위치 확인 Step 5 Image
  • 장점: 전국 3만여 개 수거함 DB 제공, 최신화 유지, 통신사 대리점, 삼성/LG 판매점, 하이마트 등 포함, GPS 기반 모바일 검색 지원.
  • 단점: 일부 소규모 수거함 미등록 가능, 모바일 UI 개선 필요.
: 스마트폰 GPS 활성화 시 현재 위치 기반 수거함 추천.

2. 민간 판매점 및 대리점 확인

  • 장소: 롯데하이마트, 삼성디지털프라자, LG베스트샵, 통신사 대리점(SKT, KT, LGU+).
  • 방법: 매장 방문 전 전화로 소형 가전 수거함 유무 확인.
    • 예: 하이마트 강남점(02-123-4567) → “소형 폐가전 수거함 있나요?”.
  • 장점: 접근성 높음, 주말 운영, 폐휴대폰, 소형 가전 동시 처리 가능.
  • 단점: 모든 매장에 수거함 없음, 품목 제한(대형 가전 불가).
: 매장별 이벤트(폐가전 반납 시 할인) 확인.

3. 주민센터 및 아파트 단지 문의

  • 방법: 동 주민센터 방문/전화 → 수거함 위치 문의.
    • 아파트 거주자는 관리사무소에 단지 내 수거함 확인.
  • 장점: 가장 가까운 위치 확인 가능, 주민센터는 90% 이상 수거함 설치.
  • 단점: 아파트 수거함은 단지별 설치 여부 상이, 소규모 주민센터는 수거함 미설치 가능.
: 주민센터 방문 시 폐형광등, 아이스팩 수거함 동시 확인.

지역별 소형 폐가전 수거함 현황

2025년 기준, 주요 도시의 소형 폐가전 수거함 설치 현황을 정리했습니다. 각 지역은 대표적 위치와 특징을 포함합니다.

도시 설치 현황 대표 위치 특징 문의
서울 약 1만 개 수거함
(주민센터 423개, 아파트 단지, 판매점)
강남구: 삼성전자 강남본점(테헤란로 129), 강남구청 주민센터(강남대로 708)
관악구: 관악구청 재활용센터(관악로 145), 신림동 주민센터(신림로 340)
송파구: 가락동 주민센터(양재대로 932), 롯데마트 송파점(오금로 516)
폐가전 무상수거(www.15990903.or.kr)와 연계, 소형 가전 5개 이상 무료 방문수거
관악구는 공공데이터로 수거함 위치 공개(www.data.go.kr)
서울시 다산콜센터
02-120
부산 약 3,000개 수거함
(해운대구, 수영구 등 중심)
해운대구: 해운대구청(중동2로 11), LG베스트샵 해운대점(해운대해변로 197)
부산진구: 부산시민공원 재활용센터(시민공원로 73)
해운대구는 무상수거 콜센터(051-749-4451) 운영
부산시 재활용 앱(부산에코)으로 수거함 위치 검색 가능
부산시 콜센터
051-120
해운대구 무상수거
051-749-4451
대전 약 1,500개 수거함
(유성구, 서구 중심)
유성구: 전민동 행정복지센터(유성대로 1670), 하이마트 유성점(계룡로 123)
서구: 둔산동 주민센터(둔산로 100)
유성구는 아이스팩, 폐형광등 수거함과 통합 설치
대전시 재활용도움센터로 추가 문의 가능
대전시 콜센터
042-120
인천 약 2,000개 수거함
(연수구, 서구 중심)
연수구: 송도동 주민센터(해돋이로 107), 삼성디지털프라자 송도점(컨벤시아대로 165)
서구: 청라동 재활용센터(환경로 42, 한국환경공단)
폐가전 무상수거(1599-0903) 적극 홍보
서구는 환경공단과 협력, 수거함 접근성 높음
인천시 콜센터
032-120
폐가전 무상수거
1599-0903

기타 지역

  • 경기도: 수원 영통구(에이스 광교타워, 대학4로 17), 고양 일산동구(일산로 123).
  • 강원도: 춘천시청 재활용센터(춘천로 61), 원주 주민센터(무실로 100).
  • 제주도: 제주시청(광양9길 10), 서귀포 롯데마트(중앙로 131).
: 소규모 시/군은 주민센터 의존도 높음, 전화 문의 권장.

소형 폐가전 배출 요령

소형 폐가전 수거함 이용은 간단하지만, 올바른 배출을 위해 몇 가지를 준수해야 합니다.

1. 대상 품목 확인

  • 포함: 가습기, 청소기, 전기다리미, 믹서기, 폐휴대폰 등.
  • 제외: 냉장고, 세탁기, TV, 에어컨(대형 가전은 무상 방문수거 신청).
: 품목 불확실 시 수거함 안내문 또는 주민센터 문의.

2. 전원 및 배터리 제거

  • 방법: 기기 전원 완전 종료 및 배터리(리튬이온 등) 분리 → 별도 폐건전지 수거함 배출.
  • 이유: 배터리 누출로 화재 위험 방지.
: 배터리 분리 불가 시 관리자 안내 요청.

3. 수거함 투입

  • 방법: 수거함 지정 칸(소형/중소형) 확인 및 기기 크기에 맞게 투입, 강제로 밀어 넣지 않기.
  • 주의: 깨진 기기, 액체 포함 품목(예: 가습기 물통) 배출 금지.
: 수거함 만차 시 관리사무소 또는 주민센터 연락.

4. 대안 서비스 활용

  • 무상 방문수거: 사이트 www.15990903.or.kr 이용
    • 전화: 1599-0903(평일 08:00~18:00).
    • 조건: 소형 가전 5개 이상 또는 대형 가전 포함 시 무료.
  • 지역 재활용 요일: 지자체 지정일(예: 매주 수요일)에 폐기물 스티커 부착 배출.
: 방문수거는 사전 예약 필수, 소형 가전만은 수거함 권장.

소형 폐가전 수거 주의사항 및 팁

카테고리 위험/문제 해결법
불법투기 금지 수거함 외 장소 배출 시 최대 100만 원 과태료. 지정 수거함 또는 무상 방문수거 이용. 불법투기 신고는 지자체 청소과로(예: 서울 02-120).
품목 사전 확인 부적합 품목 투입 시 수거 지연. 한국전자제품자원순환공제조합(www.15990903.or.kr) 품목 목록 확인. 수거함 안내문 스캔 또는 사진 저장.
수거함 상태 점검 만차 또는 파손된 수거함 사용 불가. 방문 전 주민센터 전화 확인. 대형 마트 수거함은 관리 빈도 높아 신뢰도 우수.
지역별 차이 이해 지자체별 수거 정책 상이(예: 서울은 5개 이상 무료, 부산은 요일 지정). 지역 홈페이지 또는 콜센터로 정책 확인. 아파트 거주자는 관리사무소 공지사항 체크.

소형 폐가전 수거함은 가정 내 불필요한 전자제품을 무료로 처리하며 환경 보호에 기여하는 최적의 방법입니다. 2025년 한국에서는 순환자원정보센터(www.re.or.kr), 지자체 홈페이지, 네이버/카카오맵으로 전국 주민센터, 아파트 단지, 하이마트, 삼성디지털프라자 등 수거함 위치를 쉽게 찾을 수 있습니다.

가습기, 청소기, 폐휴대폰 등을 배터리 제거 후 지정 칸에 투입하면 간단히 배출 완료! 대량 배출이나 대형 가전은 무상 방문수거(1599-0903)를 활용하세요. 지금 순환자원정보센터에 접속해 근처 수거함을 찾아보시기 바랍니다.

소형 폐가전 수거함 관련 FAQ

Q. 소형 폐가전 수거함이란 무엇인가요?

소형 폐가전 수거함은 가습기, 청소기, 전기다리미, 폐휴대폰 등 높이 1m 미만 전자제품을 무료로 배출할 수 있도록 지자체와 공제조합이 설치한 전용 수거 시설입니다. 재활용과 환경 보호를 위해 운영됩니다.

Q. 소형 폐가전 무료인가요?

네, 모든 소형 폐가전 수거함은 무료로 운영됩니다. 배출 시 추가 비용이나 스티커 부착 필요 없습니다.

Q. 어떤 품목을 소형 폐가전 수거함에 버릴 수 있나요?

가습기, 청소기, 전기다리미, 믹서기, 선풍기, 오디오, 폐휴대폰, 프린터 등 소형 전자제품(높이 1m 미만, 무게 20kg 이하). 냉장고, 세탁기, TV 등 대형 가전은 불가합니다.

Q. 수거함에 배출하기 전에 해야 할 준비는?

기기 전원을 끄고, 배터리(리튬이온 등)를 분리해 폐건전지 수거함에 따로 버려야 합니다. 깨진 기기나 액체 포함 품목(예: 가습기 물통)은 배출 금지입니다.

Q. 아파트에 수거함이 없으면 어떻게 하나요?

관리사무소에 확인 후 없으면 근처 주민센터, 하이마트, 삼성/LG 매장 수거함 이용. 또는 폐가전 무상수거(1599-0903)로 방문수거 신청(소형 5개 이상).

Q. 소형 폐가전 수거함 위치를 모를 때는?

순환자원정보센터(www.re.or.kr)에서 자원순환정보수거회수처 검색. 네이버 지도, 카카오맵에 “소형 폐가전 수거함 [지역명]” 입력하거나 주민센터 전화 문의하세요.

Q. 수거함이 만차이거나 파손된 경우는?

주민센터, 관리사무소, 매장 직원에 문의해 수거 요청. 또는 다른 근처 수거함(예: 인근 주민센터, 마트) 이용. 대안으로 무상 방문수거 예약 가능.

Q. 소형 폐가전을 일반 쓰레기로 버리면 안 되나요?

안 됩니다. 중금속 및 유해물질로 환경오염 유발, 불법투기 시 최대 100만 원 과태료 부과. 지정 수거함이나 무상수거 서비스 이용 필수입니다.

Q. 대형 가전도 소형 폐가전 수거함에 넣을 수 있나요?

불가합니다. 냉장고, 세탁기, 에어컨, TV 등은 폐가전 방문수거 배출예약시스템(1599-0903.or.kr)으로 무상 방문수거 신청하거나 지자체 대형폐기물 처리 절차를 따라야 합니다.

이 게시물이 얼마나 유용했나요?

별을 클릭하여 평가하세요!

평균 평점 5 / 5. 평가 집계 889

아직 평가가 없습니다! 이 게시물을 가장 먼저 평가해 주세요.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