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 목차(Table of Contents)
팝스(PAPS)는 대한민국 교육부가 주관하는 학생 건강체력 평가 제도로, 초등학교 부터 고등학교 까지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체력 상태를 측정하고 건강한 생활 습관을 장려하는 시스템입니다.
팝스에서 가장 주목받는 종목 중 하나인 왕복오래달리기(셔틀런)는 심폐지구력을 평가하는 핵심 항목으로, 학생들에게 체력의 중요성을 깨닫게 하는 동시에 측정 결과에 따라 등급을 부여합니다.
2025년 기준으로 셔틀런 기준표는 학년별, 성별로 세분화되어 있으며, 학생들의 체력 수준을 1등급(최우수)부터 5등급(미달)까지 분류하는 데 사용됩니다. 이 글에서는 팝스 셔틀런 기준표의 상세 내용, 측정 방법, 등급 기준, 준비 팁, 그리고 활용 방법을 자세하게 설명 합니다.
팝스 셔틀런 기준표 안내
셔틀런은 정식 명칭으로 “왕복오래달리기“라고 불리며, 20m 구간을 신호음에 맞춰 왕복으로 달리는 운동입니다. 이는 심장과 폐의 지구력을 테스트하며, 학생들이 얼마나 오랫동안 지속적인 운동을 할 수 있는지를 평가합니다.
셔틀런은 2002년 한일 월드컵 당시 축구 국가대표팀의 체력 단련법으로 주목받으며 대중화되었고, 이후 팝스(PAPS)에 포함되어 학생 체력 평가의 핵심으로 자리 잡았습니다.
팝스 셔틀런 기준표
팝스 셔틀런 기준표는 학년별(초등학교, 중학교, 고등학교), 성별(남성, 여성)로 구체적인 왕복 횟수를 기준으로 등급을 나눕니다.
등급은 백분위 점수로 산출되며, 1등급, 2등급, 3등급, 4등급, 5등급으로 나뉩니다. 아래에서 학년별 기준표를 상세히 정리합니다.
학년 | 남자 | 여자 | ||||||||
---|---|---|---|---|---|---|---|---|---|---|
아주 낮음(5등급) | 낮음 (4등급) | 보통 (3등급) | 높음 (2등급) | 아주 높음 (1등급) | 아주 낮음 (5등급) | 낮음 (4등급) | 보통 (3등급) | 높음 (2등급) | 아주 높음 (1등급) | |
초1 | 16이하 | 17~29 | 30~45 | 46~61 | 62이상 | 14이하 | 15~24 | 25~38 | 39~52 | 53이상 |
초2 | 19이하 | 20~34 | 35~56 | 57~79 | 80이상 | 16이하 | 17~29 | 30~44 | 45~60 | 61이상 |
초3 | 22이하 | 23~39 | 40~64 | 65~87 | 88이상 | 18이하 | 19~34 | 35~50 | 51~68 | 69이상 |
초4 | 25이하 | 26~44 | 45~68 | 69~95 | 96이상 | 20이하 | 21~39 | 40~56 | 57~76 | 77이상 |
초5 | 28이하 | 29~49 | 50~72 | 73~99 | 100이상 | 22이하 | 23~44 | 45~62 | 63~84 | 85이상 |
초6 | 31이하 | 32~53 | 54~77 | 78~103 | 104이상 | 24이하 | 25~49 | 50~68 | 69~92 | 93이상 |
중1 | 19이하 | 20~35 | 36~49 | 50~63 | 64이상 | 13이하 | 14~18 | 19~24 | 25~34 | 35이상 |
중2 | 21이하 | 22~37 | 38~51 | 52~65 | 66이상 | 14이하 | 15~20 | 21~28 | 29~39 | 40이상 |
중3 | 23이하 | 24~39 | 40~53 | 54~67 | 68이상 | 15이하 | 16~22 | 23~32 | 33~44 | 45이상 |
고1 | 25이하 | 26~41 | 42~55 | 56~69 | 70이상 | 16이하 | 17~24 | 25~36 | 37~49 | 50이상 |
고2 | 27이하 | 28~43 | 44~57 | 58~71 | 72이상 | 17이하 | 18~26 | 27~40 | 41~54 | 55이상 |
고3 | 29이하 | 30~45 | 46~59 | 60~73 | 74이상 | 17이하 | 18~26 | 27~40 | 41~54 | 55이상 |
* 초등학생은 15m, 중·고등학생은 20m / 단위(회)
위 기준표는 교육부 학생건강정보센터에서 매년 갱신되며, 수치 또한 변경될 수 있습니다.
팝스 셔틀런 측정 방법
셔틀런(왕복오래달리기)은 정확한 측정을 위해 규격화된 절차를 따릅니다. 2025년 기준으로 학교 체육 시간에 주로 사용되는 방법을 아래에 정리합니다.
1. 측정 준비
- 장소: 20m 직선 구간(체육관, 운동장 등).
- 도구: 셔틀런 음원(신호음 포함), 스톱워치, 마커(출발선 및 도착선 표시).
- 복장: 운동복, 러닝화(미끄럼 방지).
2. 측정 절차

- 설명: 교사가 학생들에게 신호음에 맞춰 15~20m(초등학생 15m, 중/고등학생 20m)를 왕복하는 규칙 안내.
- 준비: 출발선에 일렬로 서서 신호음 대기.
- 시작: “준비, 출발!” 신호 후 음원 재생, 첫 벨 소리에 맞춰 달리기.
- 진행: 신호음 속도가 점차 빨라지며, 다음 벨 소리 전 도착선 도달해야 함.
- 종료: 벨 소리 전 도착하지 못하거나 연속 2회 실패 시 종료, 마지막 성공 횟수 기록.
3. 주의사항
- 초반 과속 금지: 체력 소진 방지 위해 일정 속도 유지.
- 반칙: 라인 밟지 않거나 중간에 방향 전환 시 실격 처리 가능.
팝스 셔틀런 기준표는 2025년에도 학생 건강 관리의 중요한 지표로 활용됩니다. 초등학교 학생부터 고등학생까지 학년별, 성별로 세분화된 기준을 통해 자신의 심폐지구력을 점검하고, 운동 습관을 개선할 수 있습니다. 지금 기준표를 확인하고, 셔틀런 연습을 시작해 1등급을 목표로 도전해보세요!
팝스 셔틀런 기준표 관련 FAQ
Q. 팝스 셔틀런 기준표란 무엇인가요?
팝스 셔틀런 기준표는 학생 건강체력 평가(PAPS)에서 심폐지구력을 측정하는 왕복오래달리기(셔틀런)의 학년별, 성별 기준으로, 20m 구간 왕복 횟수에 따라 1등급(최우수)부터 5등급(미달)까지 분류합니다.
Q. 셔틀런 기준표는 어디서 확인하나요?
교육부 학생건강정보센터(www.schoolhealth.kr)의 ‘자료실’ 또는 학교에서 제공하는 팝스 기준표를 통해 학년별, 성별 셔틀런 기준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Q. 셔틀런 등급은 어떻게 결정되나요?
셔틀런 횟수를 기준표에 대입해 백분위 점수로 변환하며, 평균 백분위 80 이상(1등급), 60~79(2등급), 40~59(3등급), 20~39(4등급), 19 이하(5등급)으로 나뉩니다.
Q. 남학생과 여학생의 셔틀런 기준이 다른가요?
네, 성별 신체 능력 차이를 반영해 남학생 기준이 여학생보다 높습니다. 예: 중 2 남 1등급 6879회, 여 4075회.
Q. 초등 3학년도 셔틀런 기준표가 있나요?
네, 2025년부터 초등 3학년이 팝스에 포함되며, 남학생 1등급 77~100회, 여학생 70~90회 등 기준표가 적용됩니다.
Q. 셔틀런 횟수가 적으면 어떻게 되나요?
셔틀런만으로 전체 등급이 결정되진 않으며, 팝스는 5개 종목 평균으로 등급을 매깁니다. 낮은 횟수는 4~5등급으로 분류되지만 불이익은 없습니다.
Q. 셔틀런 기준표는 매년 바뀌나요?
기본 기준은 고정이나, 교육부 정책(예: 초등 확대)에 따라 조정될 수 있습니다. 2025년 기준은 초등 3학년 추가 외 큰 변경 없음.
Q. 셔틀런 1등급을 받으려면 몇 회 해야 하나요?
학년·성별마다 다르며, 예를 들어 초 6 남 104회 이상, 중 3 여 45회 이상, 고 1 남 72회 이상이 1등급 기준입니다.
Q. 셔틀런 측정은 언제 하나요?
주로 4~5월 학교 체육 시간에 실시되며, 학교별 일정에 따라 다를 수 있습니다. 2025년 초등 3학년부터 확대 적용.
Q. 실패하면 셔틀런 재측정 가능한가요?
학교 재량에 따라 다르지만, 보통 연 1~2회 재측정 기회가 제공됩니다. 담임이나 체육교사에게 문의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