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 목차(Table of Contents)
팝스(PAPS)는 심폐지구력, 유연성, 근력 및 근지구력, 순발력, 신체조성 등 5대 체력 요소를 평가하며, 그중 악력(악력검사)은 근력 및 근지구력을 측정하는 중요한 종목 중 하나입니다. 2025년 기준으로 팝스 악력 기준표는 학년별, 성별로 세분화되어 있으며, 학생들의 손아귀 힘을 통해 근력 수준을 1등급(최우수)부터 5등급(미달)까지 분류합니다.
👉 PAPS 팝스 기준표: 초,중,고등학교 학생 체력 평가 등급
이 글에서는 팝스 악력 기준표의 상세 내용, 측정 방법, 등급 기준, 준비 팁, 그리고 활용 방법을 자세하게 설명 합니다.
팝스 악력 기준표 안내
악력검사는 손아귀 힘을 측정하는 테스트로, 악력계(Dynamometer)를 사용해 양손의 최대 근력을 kg 단위로 기록합니다. 이는 근력 및 근지구력을 평가하는 데 사용되며, 일상생활에서의 물건을 쥐는 능력, 스포츠 활동에서의 그립력, 그리고 전반적인 상체 근력 수준을 반영합니다.
팝스에서 악력은 학생들의 건강 체력을 파악하는 데 중요한 지표로 활용되며, 특히 손과 팔의 근육 발달 상태를 확인하는 데 유용합니다.
팝스 악력 기준표: 2025년 최신 기준
팝스 악력 기준표는 학년별(초,중,고등학교), 성별(남,녀)로 구체적인 kg 수치를 기준으로 등급(1~5등급)을 나눕니다.
아래에서 학년별 기준표를 상세히 정리합니다. *악력 수치는 양손 평균값 또는 높은 손의 기록을 사용(참고: 수치는 교육부 학생건강정보센터 및 웹 자료 기반이며, 일부 추정치 포함)
학년 | 남자 | 여자 | ||||||||
---|---|---|---|---|---|---|---|---|---|---|
아주 낮음 (5등급) | 낮음 (4등급) | 보통 (3등급) | 높음 (2등급) | 아주 높음 (1등급) | 아주 낮음 (5등급) | 낮음 (4등급) | 보통 (3등급) | 높음 (2등급) | 아주 높음 (1등급) | |
초1 | 7.4이하 | 7.5~10.4 | 10.5~13.9 | 14.0~24.9 | 25.0이상 | 6.4이하 | 6.5~8.8 | 9.0~11.9 | 12.0~24.9 | 25.0이상 |
초2 | 8.4이하 | 8.5~10.9 | 11.0~15.9 | 16.0~29.9 | 30.0이상 | 7.9이하 | 8.0~9.9 | 10.0~12.9 | 13.0~24.9 | 25.0이상 |
초3 | 8.9이하 | 9.0~11.9 | 12.0~17.9 | 18.0~30.9 | 31.0이상 | 6.9이하 | 7.0~10.9 | 11.0~15.9 | 16.0~28.9 | 29.0이상 |
초4 | 11.4이하 | 11.5~14.9 | 15.0~18.4 | 18.5~30.9 | 31.0이상 | 10.4이하 | 10.5~13.4 | 13.5~17.9 | 18.0~28.9 | 29.0이상 |
초5 | 12.4이하 | 12.5~16.9 | 17.0~22.9 | 23.0~30.9 | 31.0이상 | 11.9이하 | 12.0~15.4 | 15.5~18.9 | 19.0~28.9 | 29.0이상 |
초6 | 14.9이하 | 15.0~18.9 | 19.0~26.4 | 26.5~34.9 | 35.0이상 | 13.9이하 | 14.0~18.9 | 19.0~21.9 | 22.0~32.9 | 33.0이상 |
중1 | 16.4이하 | 16.5~22.4 | 22.5~29.9 | 30.0~41.9 | 42.0이상 | 13.9이하 | 14.0~18.9 | 19.0~22.9 | 23.0~35.9 | 36.0이상 |
중2 | 21.9이하 | 22.0~28.4 | 28.5~36.9 | 37.0~44.4 | 44.5이상 | 13.9이하 | 14.0~19.4 | 19.5~25.4 | 25.5~35.9 | 36.0이상 |
중3 | 24.9이하 | 25.0~32.9 | 33.0~40.4 | 40.5~48.4 | 48.5이상 | 15.9이하 | 16.0~19.4 | 19.5~27.4 | 27.5~35.9 | 36.0이상 |
고1 | 28.9이하 | 29.0~36.4 | 35.5~42.4 | 42.5~60.9 | 61.0이상 | 16.4이하 | 16.5~22.9 | 23.0~28.9 | 29.0~35.9 | 36.0이상 |
고2 | 30.9이하 | 31.0~38.9 | 39.0~45.9 | 46.0~60.9 | 61.0이상 | 17.9이하 | 18.0~24.9 | 25.0~29.4 | 29.5~37.4 | 37.5이상 |
고3 | 30.9이하 | 31.0~38.9 | 39.0~45.9 | 46.0~63.4 | 63.5이상 | 17.9이하 | 18.0~24.9 | 25.0~29.4 | 29.5~37.4 | 37.5이상 |
📢 기준표는 교육부 학생건강정보센터(www.schoolhealth.kr)에서 매년 갱신됩니다.
팝스 악력검사 측정 방법
악력검사는 정확한 측정을 위해 규격화된 절차를 따릅니다. 2025년 기준으로 학교에서 주로 사용하는 방법을 아래에 정리합니다.
1. 측정 준비

- 도구: 디지털 또는 아날로그 악력계(0.1kg 단위 측정 가능).
- 환경: 조용한 실내 공간, 측정 전 손을 따뜻하게 유지.
- 복장: 편안한 운동복, 손에 땀이 나지 않도록 주의.
2. 측정 절차

- 설명: 교사가 악력계 사용법과 측정 규칙 안내(최대 힘으로 2~3초 쥐기).
- 준비: 학생은 서거나 앉은 자세로 악력계를 손에 쥐고 팔은 몸통에 붙임.
- 실행: 아래와 같은 순서대로 악력 측정 검사를 진행 합니다.
- 오른손과 왼손을 각각 2회 측정(총 4회).
- 측정 간 30초 이상 휴식.
- 최대 힘으로 쥔 후 기록(0.1kg 단위 반올림).
- 기록: 최고 기록 또는 양손 평균값을 팝스 시스템에 입력(학교별 기준 상이).
3. 주의사항

- 손 위치: 악력계를 손바닥 중앙에 위치시키고 손가락이 겹치지 않도록.
- 자세: 팔꿈치 굽힘이나 몸통 움직임 금지.
- 오류 방지: 땀이나 피로로 인한 미끄러짐 주의.
팝스 악력 기준표는 2025년에도 학생 건강 관리의 핵심 지표로 활용됩니다. 초등학년부터 고등학년까지 학년별, 성별로 세분화된 기준을 통해 자신의 근력 수준을 점검하고, 운동 습관을 개선할 수 있습니다. 지금 기준표를 확인하고, 손 근력 운동을 시작해 1등급을 목표로 도전해보세요!
팝스 악력 기준표 관련 FAQ
Q. 팝스 악력 기준표란 무엇인가요?
팝스 악력 기준표는 학생 건강체력 평가(PAPS)에서 근력 및 근지구력을 측정하는 악력검사의 학년별, 성별 기준으로, 악력계로 측정한 손아귀 힘(kg)을 통해 1등급(최우수)부터 5등급(미달)까지 분류합니다.
Q. 악력 기준표는 어디서 확인하나요?
교육부 학생건강정보센터(www.schoolhealth.kr)의 ‘자료실’ 또는 학교에서 제공하는 팝스 매뉴얼에서 학년별, 성별 악력 기준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Q. 악력 등급은 어떻게 결정되나요?
악력 수치(kg)를 기준표에 대입해 백분위 점수로 변환하며, 평균 백분위 80 이상(1등급), 60~79(2등급), 40~59(3등급), 20~39(4등급), 19 이하(5등급)으로 나뉩니다.
Q. 남학생과 여학생의 악력 기준이 다른가요?
네, 근육량과 신체 발달 차이를 반영해 남학생 기준이 여학생보다 높습니다. 예: 중 3 남 1등급 40.0~45.0kg, 여 29.0~34.0kg.
Q. 초등 3학년도 악력 기준표가 있나요?
네, 초등 3학년도 팝스에 포함되며, 남학생 1등급 20.0~25.0kg, 여학생 18.0~23.0kg 등 기준표가 적용됩니다.
Q. 악력이 약하면 전체 등급에 영향이 큰가요?
아니요, 팝스는 악력을 포함한 5개 종목의 평균으로 등급을 산출하므로 악력만으로 전체 등급이 결정되진 않습니다. 다른 종목으로 보완 가능합니다.
Q. 악력 기준표는 매년 바뀌나요?
기본 기준은 고정되어 있지만, 교육부 정책(예: 초등 확대)에 따라 미세 조정될 수 있습니다. 2025년 기준은 초등 3학년 추가 외 큰 변경 없음.
Q. 악력 1등급을 받으려면 몇 kg 나와야 하나요?
학년·성별마다 다르며, 예를 들어 초 6 남 28.0kg 이상, 중 1 여 27.0kg 이상, 고 2 남 47.0kg 이상이 1등급 기준입니다.
Q. 악력 측정은 언제 하나요?
주로 4~5월 학교 체육 시간에 실시되며, 학교별 일정에 따라 다를 수 있습니다. 2025년 초등 3학년부터 확대 적용됩니다.
Q. 악력이 낮으면 재측정 가능한가요?
학교 재량에 따라 가능하며, 보통 연 1~2회 재측정 기회가 제공됩니다. 담임이나 체육교사에게 문의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