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 목차(Table of Contents)
문서 작성 시 단어를 구분하거나 나열할 때 가운뎃점(·)은 매우 유용하게 사용됩니다. 하지만 키보드에서 바로 입력할 수 없기 때문에 사용자가 별도의 방법을 알아야 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운영 체제와 프로그램에 따라 입력 방식이 다르므로, 본 가이드에서는 가운뎃점을 다양한 환경에서 입력하는 방법을 정리하였습니다.
가운뎃점 단축키 입력 방법 안내

가운뎃점(·)은 문서 작성 시 단어를 구분하거나 나열할 때 자주 사용되는 특수 문자입니다. 특히 한국어에서는 유사한 단어를 나열하거나, 구분이 필요한 경우 사용됩니다. (예:서울·부산·대구·광주)
기호 설명 | 유니코드 | 기호 | 복사 |
---|---|---|---|
중앙 가운뎃점 | U+00B7 | · | |
굵은 가운뎃점 | U+2022 | • | |
작은 가운뎃점 | U+2219 | ∙ | |
일본식 가운뎃점 | U+30FB | ・ | |
희귀 가운뎃점 | U+2E31 | ⸱ |
그러나 대부분의 키보드에는 가운뎃점을 직접 입력할 수 있는 키가 없기 때문에, 위의 복사 버튼을 통해 복사 붙여넣기를 하거나 특정 단축키나 입력 방법을 활용해야 합니다.
윈도우(Windows) 가운뎃점 단축키와 입력 방법
키보드 한자키 활용
‘ㄱ’ + 한자(漢字) 키 조합하여 가운뎃 점 특수문자를 입력 할 수 있습니다.
- 한글 자음 ‘ㄱ’을 입력한 후, ‘한자’ 키를 누릅니다.
- 특수문자 창이 나타나면, 아래쪽 화살표 키(↓)를 눌러 2페이지로 이동합니다.
- ‘8’번을 선택하면 가운뎃점(·)이 입력됩니다.
Alt 코드 입력
- 숫자 키패드가 있는 키보드에서 ‘Num Lock’을 활성화합니다.
- 왼쪽 Alt 키를 누른 상태에서 숫자 키패드로
0183
을 입력한 후, ‘Alt’ 키를 놓습니다. - 그러면 가운뎃점(·)이 입력됩니다.
윈도우 이모지 패널 사용
윈도우 키(⊞) + 마침표(.)
키를 동시에 누릅니다.- 이모지 패널이 나타나면, 상단의 ‘Ω’ 기호(기호 및 특수문자)를 선택합니다.
- 일반 문장 부호에서 가운뎃점(·)을 찾아 클릭합니다.
Mac(맥) 가운뎃점 단축키와 입력 방법
macOS를 사용하는 기기에서는 Option(Alt) + Shift + 9 키를 누르면 가운뎃점(·)이 입력됩니다.
MS 워드(Word) 가운뎃점 단축키와 입력 방법
기호 삽입 기능 활용
- 상단 메뉴에서 ‘삽입’ 탭을 클릭합니다.
- ‘기호’ 그룹에서 ‘기호’를 선택한 후, **’다른 기호’**를 클릭합니다.
- 기호 창이 나타나면, 목록에서 가운뎃점(·)을 찾아 선택하고 ‘삽입’ 버튼을 클릭합니다.
단축키 지정하기
- 위의 기호 삽입 창에서 가운뎃점(·)을 선택한 상태에서, ‘바로 가기 키’ 버튼을 클릭합니다.
- 새 바로 가기 키 입력란에 원하는 단축키 조합을 입력합니다. (예:
Alt + .
) - ‘지정’ 버튼을 눌러 단축키를 설정합니다.
한글(HWP) 가운뎃점 단축키와 입력 방법
Ctrl + F10
키를 눌러 문자표를 엽니다.- ‘유니코드 문자표’ 탭에서 **’일반 구두점’**을 선택합니다.
- 목록에서 가운뎃점(·)을 찾아 선택한 후, ‘삽입’ 버튼을 클릭합니다.
iOS(아이폰, 아이패드) 가운뎃점 단축키와 입력 방법
- 소프트웨어 키보드에서 ‘하이픈(-)’ 키를 길게 누르면 다양한 기호 옵션이 나타납니다.
- 여기서 가운뎃점(·)을 선택하여 입력할 수 있습니다.
안드로이드(Android) 가운뎃점 단축키와 입력 방법
- 키보드에서 ‘?123’ 키를 눌러 숫자 및 기호 모드로 전환합니다.
- ‘기호’ 또는 ‘=<‘ 키를 눌러 추가 기호를 표시합니다.
- 여기서 가운뎃점(·)을 찾아 선택하여 입력할 수 있습니다.
HTML에서 가운뎃점 입력 방법
HTML 문서에서 가운뎃점을 입력하려면, 다음과 같은 엔티티 코드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p>사과 · 바나나 · 체리</p>
이렇게 입력하면, 브라우저에서는 다음과 같이 표시됩니다.
사과 · 바나나 · 체리
가운뎃점 특수문자 사용 시 주의할 점
가운뎃점 vs 방점
가운뎃점(·)과 유사한 기호로 방점(〮)이 있습니다. 방점은 한자음 표기 등에 사용되며, 일반적인 문서 작성에서는 가운뎃점(·)을 사용해야 합니다.
예: 서울·부산·대구·광주 (O) / 서울〮부산〮대구〮광주 (X)
띄어쓰기 규칙
국립국어원의 규정에 따르면, 가운뎃점 앞뒤에는 띄어쓰지 않는 것이 원칙입니다.
- 예:
사과·바나나·포도 (O)
- 예:
사과 · 바나나 · 포도 (X)
그러나 디자인 및 가독성을 고려하여 일부 출판물에서는 앞뒤에 공백을 넣는 경우도 있습니다.
가운뎃점(·)은 다양한 문서와 웹 환경에서 필요한 경우가 있습니다. 그러나 대부분의 키보드에서 직접 입력할 수 없기 때문에, 운영 체제별 단축키를 활용하면 보다 빠르게 입력할 수 있습니다.
가운뎃점 단축키(·) 및 입력 방법 관련 FAQ
가운뎃점(·)은 문장에서 항목을 구분하거나 병렬적으로 나열할 때 사용되는 구두점입니다. 주로 국문과 외국어 혼합 문장 또는 목록에서 사용되며, 쉼표(,)보다 구분이 명확한 역할을 합니다. 예를 들어 “서울·부산·대구”처럼 지역을 나열할 때 유용하게 활용됩니다.
윈도우에서 가운뎃점(·)을 입력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 Alt + 250 (숫자 키패드 이용) – 키보드 오른쪽 숫자 패드를 사용해야 합니다.
- IME(입력기)에서 한글 상태에서 Shift + / (물음표 키) – 기본적으로 입력 가능
- 유니코드(Unicode) 입력 방식: U+00B7 (입력 후 Enter)
Mac 사용자는 다음 방법을 이용해 가운뎃점(·)을 입력할 수 있습니다:
- Option + Shift + 9 키를 눌러 입력
- 한글 입력기에서 기본적으로 Shift + / 사용
- 유니코드 U+00B7을 복사하여 입력
스마트폰에서는 키보드 설정에 따라 다르지만 일반적으로 다음 방법을 사용합니다:
- 한글 키보드에서 기호 키 (.,?123) → · 선택
- iPhone의 경우 123 → #+= → · 선택
MS Word에서 가운뎃점(·)을 입력하는 방법:
- Alt + 250 (숫자 키패드 필요)
- 메뉴에서 삽입 → 기호 → · 선택
HTML에서는 특수 문자 코드 또는 유니코드를 사용하여 가운뎃점(·)을 입력할 수 있습니다:
- `·` → `·` (HTML 코드)
- `·` → `·` (HTML 엔티티 코드)
쉼표(,)는 문장에서 문장 구조를 구분하는 역할을 하지만, 가운뎃점(·)은 주로 동등한 요소들을 구분할 때 사용됩니다. 예를 들어 “서울, 부산, 대구”는 쉼표를 사용했지만 “서울·부산·대구”는 가운뎃점을 사용하여 보다 명확한 구분을 나타낼 수 있습니다.
가운뎃점(·)은 법률 문서, 공문서, 논문, 표기 규칙이 중요한 출판물에서 많이 사용됩니다. 또한, 국문과 외국어가 혼용될 때 가독성을 높이는 역할을 합니다.